본문 바로가기
Finance/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기초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 기초 준비 걷기 ( 지출/저축 예산 짜기)

by 공남남 2021. 11. 6.
반응형

오랫동안 꿈을 그려온 사람은
마침내
그 꿈을 닮아 간다

 

 드디어 경제 기초를 끝장내기를 위한 마지막 준비 단계이다. 여기서 그리는 밑그림에 따라 우리의 미래 모습이 바뀌게 될 것이다. 한발씩 천천히 부~자 되는 꿈을 함께 그려가보자.

 

1. 지출의 카테고리 화

 예산을 짜기 전 가장 먼저 할 것은, 어떤 지출에 얼마를 쓸 것인지를 결정 하는 것이다. 이전 단계에서 가계부 앱을 통해 가계부를 작성했다면 어느정도 카테고리로 분류 하여 관리하고 있을것이다.

일반적인 카테고리로 분류해보자면

  • 식비
  • 교통/차량유지비
  • 주거/통신비
  • 생활용품비
  • 경조사/모임회비
  • 의류/미용비
  • 여가/문화생활비
  • 교육비
  • 보험/세금/이자
  • 기타

너무 세분화 하게 되면, 관리도 힘들기 때문에 적절하게 분류를 해주는게 좋다.

 

2. 소비규모 파악

 카테고리별로 정리가 끝났으면, 카테고리별 지출의 3개월치 평균을 내보자.

즉, 아래 표와 같이 정리를 한번 해보는 것이다.

  첫번째 달 두번째 달 세번째 달 평균
식비 561,000 640,000 799,000 666,667
교통/차량유지 79,820 16,300 91,000 62,373
주거/통신 71,390 75,000 69,000 71,797
생활용품 9,120 78,200 139,500 75,607
경조사/모임회비 477,000 423,000 476,300 458,767
의류/미용비 37,940 84,000 18,000 46,647
여가/문화생활비 271,800 265,000 474,000 336,933
교육비 6,500 16,500 0 7,667
보험/세금/이자 145,300 320,000 139,000 201,433
기타 0 52,000 32,500 28,167
합계 1,659,870 1,970,000 2,238,300 1,956,058

모아놓고 보니 식비가 엄청나다.

 

 

 이렇게 소비규모를 파악하고 나면, 알 수 있는 것들이 몇가지 있다.

  • 단순 짐작이 아닌 상세한 소비내역 파악 가능
  • 과다하게 지출되고 있는 비용항목
  • 미래를 위해 투자해야 할 지출 항목

위의 경우에 다음과 같은 것들을 알 수 있다.

  • 앵겔지수가 34%가 될 만큼 높은 식비 지출.
  • 자기계발을 위한 교육비 투자 거의 없음.

 이러한 결과를 보니 간식이나 야식등은 줄이고, 자기계발을 위한 교육비에 조금 더 투자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처럼 단순히 소비규모를 파악해본 것이지만, 앞으로의 발전 방향도 한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3. 한달 예산 짜기

 한달동안 내가 쓸 수 있는 돈, 그리고 한달동안 내가 쓰는 돈을 모두 점검하였다면, 다음은 적당한 지출예산과 저축예산을 월급에 기초하여 짜보는 것이다.

수입 = 지출 + 저축

지출 및 저축 예산 분배 전략
  1. 월급 이외의 부가수익 = 100% 저축금액
  2. 저축비율은 월급의 최소 30% 이상을 추천 ( 가능하면 50% 이상 )
  3. 저축을 먼저하고, 남은 금액안에서 지출 하는것을 원칙
  4. 지출예산은 3개월간 작성한 가계부의 비율을 참고하여 재분배

 

 예를 들면, 월급 250만원을 받는 사회초년생 공남남의 경우에 큰 마음을 먹고 40%을 저축하기로 마음 먹었다면,

250만원중 100만원은 저축을 먼저하고 남은 150만원을 지출 비율에 맞게 예산을 짜는것이다.

가계부에서 파악한 비율에서 일정 비율을 조정하여 예산금액을 산정하면 된다.

비율을 조정 하는이유는 각 지출항목에 3개월간의 상황을 고려하여 해야 하기 때문이다.

 

 경조사가 유난히 많은 달이 있었다거나, 여행을 다녀와서 평소보다 지출이 많았던 상황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이전단계에서 지출을 고정비와 변동비를 분류 했었는데 고정비가 속한 항목은 최저 비율이 존재하기 때문에 비율 조정시에 한번 더 고려를 해야 한다.

지출항목 지출비율 조정비율 예산금액
식비 34% 30% 450,000
교통/차량유지비 3% 4% 60,000
주거/통신 4% 6% 90,000
생활용품비 4% 6% 90,000
경조사/모임회비 23% 20% 300,000
의류비/미용비 2% 5% 75,000
여가/문화생활비 17% 15% 225,000
교육비 0% 3% 45,000
보험/세금/이자 10% 10% 150,000
기타 1% 1% 15,000
지출액 1,500,000원
저축액 1,000,000원 + @
총계 2,500,000원

이렇게 작성하고나면, 월급의 저축비율과 지출항목별 비율을 한눈에 알 수 있다.

공남남의 한달 항목별 예산 비율

 

4. 아껴보기

 3개월마다 한번씩 이렇게 예산안을 변경해서 짜보면서 내가 어디에 얼마만큼의 돈을 쓰고 있는지 점검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소비패턴을 어떤 방향으로 바꿔야 할지를 다시 한번 생각 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특히 식비나 의류비의 경우에 2~3만원대의 작은 비용들이 모여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꼭 체크해서 한번 더 생각하는 소비 습관을 기르도록 하자.

 

 물론, 예산만 짜놓는다고 한번 늘어난 소비습관이 줄어들기는 쉽지 않다. 지출을 줄이는 실질적 방법은, 이렇게 확인된 지출항목 중 절약이 필요하다고 생각 되는 1~2개를 선정하고, 해당 항목의 3개월 평균 금액의 90%를 다음 분기 예산으로 책정하고, 해당 예산에 맞춰 쓰려고 노력해보는 것이다.

 

 실제로 지출을 줄이는게 쉽지 않겠지만, 얼마만큼 절약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사실 만으로도 아끼는 습관을 기르고, 그것을 실천하는 마음가짐이 다르기 때문에 꼭!꼭!꼭! 가계부쓰기와 예산짜기를 해보길 권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