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기초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 기초 걸음마 ( feat. 월급 )

by 공남남 2021. 10. 26.
반응형

지피지기 백전불태
부지피이지기 일승일부
부지피부지기 매전필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로움이 없으며,
적을 알지 못하고 나를 알면 한번 이기고 한번 지며,
적을 모르고 나를 모르면 싸움마다 반드시 위태롭다.

 

 첫 월급을 받았을 때의 그 성취감과 뿌듯함은 이루 말 할 수가 없다.

무언가 드디어 사회적 구성원이 된 것 같고, 이제야 진짜 어른인 것 같은 그런 기분이다.

 

이런 들뜬 마음도 들고, "부모님은 그 동안 이렇게 힘들게 사회생활을 하셨구나" 라는 생각에

첫 월급은 부모님 선물과 주변 친구들에게도 한턱 내기도 하면서 다 쓰기 마련이다.

 

 회사원 생활을 먼저 몇년 더해 본 사람으로써, 첫월급 부터 아껴야 한다고 말하고 싶지는 않다.

6개월 정도는 정말 원 없이 사고싶은것 사보고 먹고싶은거다 먹어보면서 다 써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한다.

돈이란 결국 쓰기 위해 버는 것이고, 돈은 쓸 때 그 가치를 발하기 때문이다. 

다만 반년치 월급 탕진잼에는 몇가지 유의점이 있다.

월급 반년치 탕진잼을 위한 절대 원칙
  1. 한번 커진 씀씀이를 줄이는 것은 다이어트 만큼 어려운 일 이라는 것을 명심할 것
  2. 반년동안 탕진될 월급은 매우 큰 금액이라는 것을 가슴깊이 새길것
  3. 탕진잼 기간동안 사용하는 돈은 통장의 현금만을 쓸 것
  4. 신용카드는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
  5. 가능한 나에게 투자하는 것들을 살 것 ( 나 자신을 위한 선물 등 )

 반년치 월급을 모두 사용하는 하더라도,

내가 받은 그 월급이 얼마인지, 그리고 월급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는첫 월급을 받는 그 순간 부터 알아두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월급의 구성을 알아야 내가 앞으로 어떻게 돈을 모으고 또 쓸지에 대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1. 월급 = 한 달 동안의 나의 노동의 대가

 당연히 모두가 알고 있겠지만, 월급이란 한달 동안 내가 어떠한 일을 하고 나를 고용한 고용주에게 그 노동의 대가를 지급 받는 일이다.

 가장 보편적인 형태가 '한 달'을 기준으로 지급하기 때문에 월급이라는 단어가 임금지불의 대명사 이다.

당연히 고용의 형태에 따라, 시급, 일급(일당), 주급 등등 지불 방법 역시 있다.

 

2. 월급의 구성요소

 월급이 월급이지 무슨 구성요소인가? 라는 의문점이 들 수 있지만, 모두 한 번쯤은 들어 봤을 것이다.

  • 니 계좌에 꼽히는 금액이 얼만데?
  • 그래서, 실수령이 얼만데?
  • 세후 얼마나 받냐?

 실수령 즉, 실제 수령하는 월 급여 액이 얼마인지 많이들 묻고 들어봤을거다.

그렇다면, 도대체 월급에는 무엇 무엇이 있길래 맨처음 생각했던 금액과 실제 내가 받는 금액이 차이가 나는지

그것 부터 알아보자.

 

사회초년생의 평균 월급이 250만원 정도라고 가정 하면 월급의 구성 비율 아래 차트와 같다.

※ 사회초년생 기준으로 하여 별도의 부양가족은 포함하지 않은 비율이다.

 즉, 내 월급 250만원중 11%인 27만5천원 가량은 소득세 및 4대보험료로 빠지고, 나머지 222만5천원 가량이 내가 실제로 받을수 있는, 즉 내 맘데로 쓸 수 있는 내돈 인 것이다.

 

※ 소득세 및 4대보험료로 빠지는 돈을 원청징수라고 한다.

 

위 내용은 기본적인 원천징수 내용이고, 이외에 회사별 그리고 개인별로 월급에서 공제하는 추가 항목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 연금납입액
  • 경조사비
  • 학자금대출 상환

등이 있다.

 

3. 원천징수

 원천징수는 위에서 말했듯이 내가 받을 총 월급에서 일정 비율만큼 먼저 떼는 금액이다.

국민의 의무중 하나인 납세의 의무로 인한 소득세와 4대보험료 이다.

 이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사회초년생의 평균 월급이 250만원 정도라고 가정할때 월급의 금액 구성은 아래 표와 같다.

250만원 기준 소득세 및 4대보험료 공제 이후 실수령액 ( 2021.10.26 기준 )

 복잡한 위 표에 대해 전부다 알 필요는 없지만, 인상된 연봉에 비해 월급이 적게 들어 왔을 때나, 보험료율 상승으로 인하여 월급이 적게 들어왔을 때, 당황하지 않을 정도로는 알아 두는 것이 좋겠다.

※ 나중에 나올 13월의 월급(aka 연말정산 환급금)과도 연관이 있으니 잘 알아두면 좋다.

 

 앞으로 경제의 기초적인 토대이자 함께 성장해나갈 동반자인 월급!

내가 얼마를 버는지 그리고 내가 쓸 수 있는 돈은 얼마인지 나의 현 상태부터 알아두는 것이

복잡한 금융상품들과 싸우기 전에 가장 첫번째로 해야할 일이니 잘 알아두도록 하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