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IT 기본 지식3 브라우저에서 IP를 찾는 순서 ( feat. DNS와 hosts 파일 등록 ) 브라우저에서 주소창에 특정 URL을 입력하게 되면 크게 세 가지 순서로 IP를 확인해서 사용자가 요청한 사이트를 찾아가게 된다. 아래는 브라우저에서 IP를 찾아가는 순서와 오픈전 프로젝트나 내부서비스 시에 DNS에 등록되지 않은 URL로 서비스 및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hosts 파일 변경을 하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1. 브라우저에서 IP를 찾아가는 순서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URL을 치게 되면 크게 3가지 순서로 진행된다. 1. 브라우저의 로컬캐시 ( Local Cache ) 확인 - 이전에 브라우저에서 해당 URL을 접속한 적이 있다면 로컬캐시에 저장된 내용을 가지고 바로 접속을 시도 한다. 2. OS의 hosts 파일 확인 - 브라우저의 로컬캐시에서 알맞은 주소를 찾지 못하면 OS별 hos.. 2024. 2. 16. Hosting(호스팅) 이 뭘까? 호스팅, 호스팅 참 많은 많인 듣고 쓰는 말인데, 정작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알고 쓴 적은 없는 단어이다. 1. 호스팅(Hosting)이란? 어떤 서비스를 빌려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웹서비스를 위한 서버를 임대해서 쓰는걸 말한다. 2. 왜 호스팅을 할까? 우리가 어떤 웹페이지나 웹서비스를 만들었다고 했을 때, 이 서비스를 실제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이용하려고 하면, 만든 서비스를 배포도 하고, 접속하기 쉬운 주소로 변환해서 도메인 연결 작업도 해야한다. 그리고 웹 서비스가 24시간 365일 끊임 없이 돌아가도록 관리도 해줘야 한다. 물론, 이걸 우리들이 직접 할 수 도 있지만, 그건 매우 어렵고 귀찮은 일 일것이다. 웹 서비스를 카페에 비유해 보면 좀 더 이해가 쉽다. 제일 먼저.. 2022. 4. 9. DNS와 작동원리 1. DNS 란 무엇인가? DNS : Domain Name System 쉽게 말하면 사람이 알아 보기 쉬운 도메인 네임(인터넷주소)을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IP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 우리가 뭔가를 찾아려고 할 때 인터넷 브라우저를 켜고 맨처음 주소창에 뭐라고 칠까? 아마도 99.9% www.google.com 을 치고 구글에 접속한 뒤 찾고자 하는 검색어를 검색 할 것이다. 즉, 어떠한 인터넷 사이트를 접속하려고 할 때 주소창에 치는 바로 그 주소가 도메인이다. 이렇게 우리가 알아보기 쉽고, 흔히 쓰는게 도메인이지만, 컴퓨터는 이 도메인을 알아볼 수 없다. 따라서 컴퓨터가 알아볼수 있는 주소(ip address)로 변환이 필요한데, 그 역할을 해주는 것이 바로 DNS 이다. www.google... 2022. 1.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