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IT 기본 지식

DNS와 작동원리

by 공남남 2022. 1. 10.
반응형

1. DNS 란 무엇인가?


DNS : Domain Name System

 쉽게 말하면 사람이 알아 보기 쉬운 도메인 네임(인터넷주소)을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IP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

 

우리가 뭔가를 찾아려고 할 때 인터넷 브라우저를 켜고 맨처음 주소창에 뭐라고 칠까?

아마도 99.9% www.google.com 을 치고 구글에 접속한 뒤 찾고자 하는 검색어를 검색 할 것이다.

 즉, 어떠한 인터넷 사이트를 접속하려고 할 때 주소창에 치는 바로 그 주소가 도메인이다.

 

이렇게 우리가 알아보기 쉽고, 흔히 쓰는게 도메인이지만, 컴퓨터는 이 도메인을 알아볼 수 없다. 따라서 컴퓨터가 알아볼수 있는 주소(ip address)로 변환이 필요한데, 그 역할을 해주는 것이 바로 DNS 이다.

 

www.google.com  = 142.250.196.110

 

 * 142.250.196.110는 구글의 ip 주소다. 

 

2. 왜 DNS를 사용 하는가?


  그럼 우리는 왜 DNS라는 것을 사용할까? 

누구나 바로 알아챌 수 있듯이, 컴퓨터가 알아볼 수 있는 ip address는 길고 복잡한 숫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일일히 다 외워서 사용하기에는 효율성이 너무 떨어진다.

 1~2개 정도야 외워서 사용하겠지만, 우리가 하루에 접속하는 웹사이트의 개수만 생각해 봐도 어림잡아 10개는 넘을테이 비효율도 이런 비효율일 수 없다.

 

 때문에, 사람들이 알아보기 쉬운 의미를 가진 문자주소(도메인 주소)를 컴퓨터가 알아보기 쉬운 ip address로 변환해주는 DNS를 사용하는 것이다.

 

3. DNS의 동작방식


 DNS의 동작 방법은 마치 스무고개를 하는 느낌처럼 점차 범위를 좁혀 가는 방식이라고 보면된다.

1) 사용자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Local DNS에 찾고자 하는 주소(www.google.com)을 묻는다.

- 인터넷 브라우저 > Local DNS (DNS Query : www.google.com) 

- Local DNS는 보통 사용자 PC에 설정된 DNS인데 보통 인터넷 통신사 DNS 주소이다.

- 만약 Local DNS에서 해당 주소를 가지고 있다면 바로 ip주소를 알려준다.

 

2) Local DNS는 Root DNS에게 (www.google.com) 주소를 물어본다

- Local DNS > Root DNS (DNS Query : www.google.com)

 

3) Root DNS는 Local DNS에게 .com을 관리하는 DNS 주소를 알려준다.

- Root DNS > Local DNS ( Response : .com 관리 DNS IP )

 

4) Local DNS는 com DNS에게 (www.google.com) 주소를 물어본다

- Local DNS > com DNS (DNS Query : www.google.com)

 

5) com DNS는 Local DNS에게 google.com을 관리하는 DNS 주소를 알려준다.

- com DNS > Local DNS ( Response : google.com 관리 DNS IP )

 

6) Local DNS는 google.com DNS에게 (www.google.com) 주소를 물어본다

- Local DNS > google.com DNS (DNS Query : www.google.com)

 

7) google.com DNS는 Local DNS에게 www.google.com IP 주소를 알려준다.

- google.com DNS > Local DNS ( Response : www.google.com IP Address 142.250.196.110 )

 

8) Local DNS는 최종 전달받은 ip를 인터넷 브라우저로 알려준다.

- Local DNS > 인터넷브라우저 ( Response : www.google.com IP Address 142.250.196.110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