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남남6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 기초 체력 기르기 (2) 든든한 뒷배 비상금 통장 It wasn't raining when Noah built the ark. 노아가 방주를 지을 때 비는 오지 않았다. - Howard Ruff - 앞서 사회초년생이 처음 경제생활에 들어왔을 때, 많이들 접하게 되지만 그 효용가치가 그다지 높지 않아 주의가 필요한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앞서서도 언급했지만 내 돈은 다른사람이 책임져 주지 않고, 그것은 공남남 역시 마찬가지다. 앞으로 제안하는 방식들이 당연히 정답은 아닐 것이나, 일부 사람들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렇게 글을 적어봅니다. 사회초년생이 가장 먼저 준비 했으면 하는 "비상금 통장" 가장 먼저 준비했으면 하는 것이 왜 비상금 통장인가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미국의 유명한 경제 해설 전문가인 하워드 러프가 .. 2022. 3. 17.
카드포인트로 정치기부하기 ( feat. M포인트 , 연말정산 ) 13월의 월급은 이제 옛말이 되었다. 언제부턴가 13월의 세금폭탄이 되어오는 연말정산 그 연말 정산을 대비하기 위해서 한가지 팁을 공유하려고 한다. 정치자금(후원금, 기탁금, 당비)은 10만원까지 전액 세액공제되고, 10만원초과 금액은 15%(3,000만원 초과 금액은 25%)까지 세액공제 됩니다. 그러나 10만원 기부하였더라도 국세청에서 결정된 종합소득산출세액이 10만원 미만이면 그 차액은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부하고자 하는 분은 전년도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에서 결정세액을 참고하여 기부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10만원을 내고 10만원 세액공제를 받는다면 그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바로 카드사 포인트로도 기부금 납부가 가능하다는 점이 중요한 점이다. 물론, 요즘에는 카드사포인트도 바로 바로 현.. 2022. 2. 13.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 기초 준비 걷기 ( 지출/저축 예산 짜기) 오랫동안 꿈을 그려온 사람은 마침내 그 꿈을 닮아 간다 드디어 경제 기초를 끝장내기를 위한 마지막 준비 단계이다. 여기서 그리는 밑그림에 따라 우리의 미래 모습이 바뀌게 될 것이다. 한발씩 천천히 부~자 되는 꿈을 함께 그려가보자. 1. 지출의 카테고리 화 예산을 짜기 전 가장 먼저 할 것은, 어떤 지출에 얼마를 쓸 것인지를 결정 하는 것이다. 이전 단계에서 가계부 앱을 통해 가계부를 작성했다면 어느정도 카테고리로 분류 하여 관리하고 있을것이다. 일반적인 카테고리로 분류해보자면 식비 교통/차량유지비 주거/통신비 생활용품비 경조사/모임회비 의류/미용비 여가/문화생활비 교육비 보험/세금/이자 기타 너무 세분화 하게 되면, 관리도 힘들기 때문에 적절하게 분류를 해주는게 좋다. 2. 소비규모 파악 카테고리별로 .. 2021. 11. 6.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 기초 스트레칭 ( feat. 가계부 ) 너 자신을 알라 이전에 들어오는 돈, 월급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나가는 돈인 소비에 대해서 알아볼 차례다. 한달에 내가 얼마를 벌고, 또 얼마를 쓰는지 알아두는 것이 본격적인 경제생활을 시작하기 전에 가장 기초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1. 기초중의 기초! 하지만 쉽지 않은 가계부 쓰기 내가 쓰는 돈이 얼마인지 알기 가장 쉽고 어려운 일이 바로 가계부를 쓰는 것이다. 지출의 형태가 워낙 다양하기도 하고, 꾸준히 지출 내역을 쓰고 기록해 두는 것은 확실히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요즘은 대부분 카드를 사용하여 지출하고, 카카오페이, 계좌이체등도 얼마든지 조금만 노력한다면 이력을 찾아보고 한달에 얼마를 쓰고 있는지를 충분히 알아 볼 수 있다. 특히, 현금을 사용한것도 현금영수증만 .. 2021. 10.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