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남남6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 기초 걸음마 ( feat. 월급 ) 지피지기 백전불태 부지피이지기 일승일부 부지피부지기 매전필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로움이 없으며, 적을 알지 못하고 나를 알면 한번 이기고 한번 지며, 적을 모르고 나를 모르면 싸움마다 반드시 위태롭다. 첫 월급을 받았을 때의 그 성취감과 뿌듯함은 이루 말 할 수가 없다. 무언가 드디어 사회적 구성원이 된 것 같고, 이제야 진짜 어른인 것 같은 그런 기분이다. 이런 들뜬 마음도 들고, "부모님은 그 동안 이렇게 힘들게 사회생활을 하셨구나" 라는 생각에 첫 월급은 부모님 선물과 주변 친구들에게도 한턱 내기도 하면서 다 쓰기 마련이다. 회사원 생활을 먼저 몇년 더해 본 사람으로써, 첫월급 부터 아껴야 한다고 말하고 싶지는 않다. 6개월 정도는 정말 원 없이 사고싶은것 사보고 먹고싶은거다 먹어.. 2021. 10. 26.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기초 끝장내기 왜 아무도 돈의 원리에 대해 교육을 해주지 않는 걸까 ?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초,중,고 총 12년 이라는 시간을 무엇인가 배우는데 보낸다. 그런데 그 어디에서도 우리는 경제, 금융에 대해서 배우는 일이 없다. 원론 적인 것은 배우지만 실제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금융상품이나 알아야할 지식들과는 동떨어진 내용 들이다. 현재 2020년대를 살아가는 2030세대 그리고 앞으로를 사회에 나올 준비를 하고있는 2000년대 생들은 단순히 은행에 저축만 열심히 해서는 자산을 형성할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 현재 은퇴를 했거나 준비하고 있는 기성세대들이 사회에서 경제활동을 하던 시기인 1970년대~1990년대를 보자면 기준금리가 10~25%도 있을 정도였고,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36%라는 무지막지한 금리도 있었다... 2021. 10. 2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