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기초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기초 끝장내기

by 공남남 2021. 10. 20.
반응형

 

 

왜 아무도 돈의 원리에 대해 교육을 해주지 않는 걸까 ?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초,중,고  총 12년 이라는 시간을 무엇인가 배우는데 보낸다. 그런데 그 어디에서도 우리는 경제, 금융에 대해서 배우는 일이 없다. 원론 적인 것은 배우지만 실제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금융상품이나 알아야할 지식들과는 동떨어진 내용 들이다.

 

 현재 2020년대를 살아가는 2030세대 그리고 앞으로를 사회에 나올 준비를 하고있는 2000년대 생들은 단순히 은행에 저축만 열심히 해서는 자산을 형성할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

 

 현재 은퇴를 했거나 준비하고 있는 기성세대들이 사회에서 경제활동을 하던 시기인 1970년대~1990년대를 보자면 기준금리가 10~25%도 있을 정도였고,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36%라는 무지막지한 금리도 있었다.

※ 36%라는 금리가 얼마나 무지막지한 금리인가 하면 ( 저소득 근로자를 위한 예금은 무려 44.5% )

  • 복리 이자로 예금 시 이자가 원금을 초과하는데 겨우 2년
  • 단리 이자로 예금 시 이자가 원금을 초과하는데 겨우 3년
  • 단리 이자로 5년 만기 예금시 세후 수익률 무려 250%
  • 2021.7.7 법률 개정으로 대부업 법정 최고금리가 20%

 물론 저 시기에 대출이자는 더 많이 비쌌지만, 대출하지 않고 정말 개미처럼 열심히 일해서 한푼 두푼 모으면 쉽게 자산을 형성 할 수 있는 시대였다.

 

그렇다면 2021 현재는 어떨까?

정기예금 이자율이 평균 1.5%이다. 위와 같이 환산해보면

  • 복리 이자로 예금 시 무려 47년이면 이자가 원금을 초과
  • 단리 이자로 예금 시 무려 67년이면 이자가 원금을 초과

무려 20배가 넘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

 

이자율에 따라 이자가 원금만큼 불어나는데 걸리는 시간

 

이자율 36% 1.5%
복리 2년 47년
단리 3년 67년

 

 

 특히나 요즘은 복리상품은 찾아볼 수도 없기 때문에, 이자소득으로 이자가 원금만큼 되는 걸 볼 순 없을 것 같다

 

 

이번 생은 글렀어요

 

때문에 더욱더 어떤 금융상품들이 있는지 그 장단점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는데 어디에서도 그런것들을 알려주지 않는다. 그래서 2030세대는 배운것은 많아 똑똑하지만 금융지식은 제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금융상품들에 무지하다.

 

 이것의 가장 큰 문제는, 금융상품에 대해 무지하다 보니 주변 이야기나 광고에 휩쓸려 아무 상품에 가입했다가 손해만 보고 애써 모은 종잣돈 마져도 잃어버리는 안타까운 일들이 비일비재 하다.

 

  이제라도 금융상품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각 상품별 장단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상품이 좋은 상품인지 판단 하는 눈을 기를 수 있도록 경제,금융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한 때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