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자신을 알라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이전에 들어오는 돈, 월급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나가는 돈인 소비에 대해서 알아볼 차례다.
한달에 내가 얼마를 벌고, 또 얼마를 쓰는지 알아두는 것이 본격적인 경제생활을 시작하기 전에 가장 기초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1. 기초중의 기초! 하지만 쉽지 않은 가계부 쓰기
내가 쓰는 돈이 얼마인지 알기 가장 쉽고 어려운 일이 바로 가계부를 쓰는 것이다. 지출의 형태가 워낙 다양하기도 하고, 꾸준히 지출 내역을 쓰고 기록해 두는 것은 확실히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요즘은 대부분 카드를 사용하여 지출하고, 카카오페이, 계좌이체등도 얼마든지 조금만 노력한다면 이력을 찾아보고 한달에 얼마를 쓰고 있는지를 충분히 알아 볼 수 있다. 특히, 현금을 사용한것도 현금영수증만 끊어 둔다면 국세청이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연동을 통해서 발급 이력을 확일 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금만 고생하면 된다.
특히나, 요즘에는 카드 결제 문자나 결제 알림톡의 사용내역을 자동으로 기록해주거나, 카드사 연동을 통하여 지출 내역을 쉽게 동기화 해주는 가계부 앱들이 잘 나와 있어, 가계부 쓰는 수고로움이 많이 줄어 들었다.
그러니 너무 어렵거나 귀찮게 생각하지 말고 지금이라도 당장 가계부 앱을 설치하도록 하자!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1.gif)
※ 필자는 오래전부터 써오던 가계부앱이 네이버 가계부인데, 워낙 오래된 앱이다 보니 카드결제 문자만 인식되고 알림톡 인식기능이나, 카드사연동 사용내역 기록 기능 등은 없다.
대신에 PC환경에서도 등록이 가능해서 일주일에 한번정도 내역을 정리하는 편이다.
2. 3개월 소비를 추적하자
가계부 쓰기를 시작했다고, 당장 소비를 줄이고 절약하는 습관을 기르라는 것은 절대 아니다.
그것 보다는 평소 내가 어디에, 얼마 만큼의 돈을 쓰고 있었는지 나의 소비성향을 파악해보는것이 가장 먼저이다.
그래서 첫번째로 해야할 일은 꾸준하게 3개월 동안 가계부를 쓰는 것이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7.gif)
간단해 보이지만 절대 쉽지 않은 가계부 쓰기를 시작한 당신을 응원한다!
첫달은 조금 더 할 일이 많을 것이다.
첫 번째로는 나의 현 자산상태(예/적금 계좌나 주식 계좌 등)를 등록 해야 할 것이고, 두 번째는 나의 지출에 맞는 추가적인 지출계정 등을 등록하는 일도 해야 하기 때문이다.
3개월 정도 꾸준하게 이력을 기록하고나면 자신의 소비 패턴이 보이기 시작한다.
- 소득 대비 지출을 얼마나 하고 있는지
- 어디에 많은 돈을 쓰고 있는지
- 생각보다 얼마나 더 많이 쓰고 있는지 혹은 적게 쓰고 있는지
- 낭비하고 있는 지출은 없는지 등
이러한 패턴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지출에 대한 전략을 세울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3. 고정비와 변동비를 구분하자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43.gif)
먼저 3개월을 꾸준히 가계부를 썼다면 ?!
본인 스스로를 대견하고 자랑스럽게 생각해도 좋다! 정말 힘들고 어려운 일을 해낸 것이다. 정말 대단하다!
3개월 가계부 쓰기를 성공했다면, 그 다음 할일은 지출내역을 월별로 뽑아 2가지로 분류 하는것이다.
바로 고정비 / 변동비 항목으로 분류 하는 것이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2/large/060.png)
그중에서도 먼저 숨만쉬어도 나가는돈!
고정비 부터 분류를 해보도록 하자
3.1고정비란?
매달 일정한 금액으로 나가는 지출이다.
대표적으로는
- 월세
- 관리비
- 대출이자
- 보험료
- 통신비
- 구독서비스료
- 교육비
- 모임회비 등
매월 일정하게 나가는 금액들은 전부 고정비로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고정비는 자동이체일이나 자동결제일을 가계부 앱에 자동으로 기입되도록 해두면 매번 입력할 필요 없이 편리하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2/large/071.png)
그다음은 지출의 꽃! 변동비를 분류해보자
3.2. 변동비란?
매달 나가는 금액이 변경되는 지출이다.
대표적으로는
- 식비
- 주유비
- 교통비
- 데이트비
- 의료비 등
매월 나가는 금액이 일정하지 않고 매월 다른 금액들을 변동비라고 보면된다. 대부분의 지출은 여기에 해당하게 될것이다.
3개월 가계부 쓰기로 지출을 기록하는 습관이 길러졌다면, 드디어 경제활동을 위한 스트레칭을 마친 것이다.
앞으로도 꾸준하게 기록해서 머나먼 경제활동 길에 부상당하지 않도록 항상 꾸준히 하도록 하자.
'Finance >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 기초 체력 기르기 (2) 든든한 뒷배 비상금 통장 (0) | 2022.03.17 |
---|---|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 기초 체력 기르기 (1) 내 돈은 절대 다른 사람이 책임져 주지 않는다. (0) | 2021.11.12 |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 기초 준비 걷기 ( 지출/저축 예산 짜기) (0) | 2021.11.06 |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 기초 걸음마 ( feat. 월급 ) (0) | 2021.10.26 |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기초] 경제기초 끝장내기 (0) | 2021.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