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팅, 호스팅 참 많은 많인 듣고 쓰는 말인데, 정작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알고 쓴 적은 없는 단어이다.
1. 호스팅(Hosting)이란?
어떤 서비스를 빌려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웹서비스를 위한 서버를 임대해서 쓰는걸 말한다.
2. 왜 호스팅을 할까?
우리가 어떤 웹페이지나 웹서비스를 만들었다고 했을 때, 이 서비스를 실제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이용하려고 하면, 만든 서비스를 배포도 하고, 접속하기 쉬운 주소로 변환해서 도메인 연결 작업도 해야한다. 그리고 웹 서비스가 24시간 365일 끊임 없이 돌아가도록 관리도 해줘야 한다.
물론, 이걸 우리들이 직접 할 수 도 있지만, 그건 매우 어렵고 귀찮은 일 일것이다.
웹 서비스를 카페에 비유해 보면 좀 더 이해가 쉽다.
제일 먼저 카페 부터 열어야 할 텐데, 프랜차이즈 카페는, 간판에서 부터 내부 인테리어까지 전담 팀에서 처리를 해준다. 반면에 개인카페는 작은 소품 하나 하나까지 다 내가 신경 써서 알아보고 맞춰보고 배치까지 해야한다.
카페를 열기만 하면 끝인가? 그렇지 않다 이제부터가 더 문제다, 카페를 하려면 원두도 필요하고, 요즘은 디저트도 필수다. 그리고 계절에 맞는 신상도 필요하다.
프랜차이즈 카페를 열었다면, 필요한 수요만 예측해서 본사로 발주만 넣으면 된다, 게다가 시즌별로 신상품도 개발등의 관리도 해준단다. 반면에 개인 카페는 커피공 구매를 위한 거래처 부터 알아봐야 하고, 꾸준하게 그 품질관리도 직접 해야한다. 거기에 기타 부수적인 것들까지 세세하게 신경 써야할 것들이 너무나도 많다.
다시 호스팅으로 돌아와서 호스팅을 하는 이유를 정리해보면 크게 두가지 정도로 볼 수 있다.
- 구축한 웹서비스의 배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 일정 수준이상의 품질로 웹서비스의 유지관리를 해준다.
3. 호스팅의 종류
앞서 말한것 처럼 호스팅은 웹 서비스를 위한 서버를 임대하는 것이라고 말했는데, 우리가 건물을 사용할 때도 다양한 임대 형태가 있는 것처럼 웹서비스를 호스팅 하는것도 다양한 종류의 호스팅이 존재한다.
크게 나누면 3가지 인데 각각의 개념만 보면 아래와 같다.
1) 웹 호스팅
호스팅 업체의 서버중 일부 공간을 임대 ( 하나의 서버공간을 다른 사용자와 나눠서 사용 )
2) 서버 호스팅
호스팅 업체의 서버 공간을 단독 임대
3) 클라우드 호스팅
호스팅 업체의 가상서버 공간을 단독 임대
각 호스팅의 특성을 보자면,
웹 호스팅 | 서버 호스팅 | 클라우드 호스팅 | |
사용방식 | 서버의 일부 공간을 임대 | 단독 공간을 임대 | 가상서버의 단독 공간을 임대 |
장점 | 이용가격이 저렴 인프라 구축 필요 없음 |
서버의 자원을 직접 관리 웹호스팅 대비 보안관리 용이 |
서버의 자원을 직접 관리 서버 스펙변경이 용이 스펙에 따른 요금절감 가능 |
단점 | 서버자원 사용이 제한적 | 초기 구축 시간/비용 소요 | 클라우드 관련 지식 필요 |
타겟 사용자 층 |
홈페이지, 블로그 등 소규모 웹사이트 |
인트라넷, 쇼핑몰, ERP 등 대규모 트랜잭션 서비스 |
스타트업,이벤트,스트리밍 등 가변적 트랜잭션 발생 서비스 |
비유 | 게스트 하우스 | 전세 | 호텔,리조트 |
각 호스팅 별로 각각의 장단점이 있고, 비용과 예상 트랜잭션 규모 및 보안의 측면에서 검토해서 알맞은 호스팅 방식을 고르는 것이 합리적이다.
'IT > IT 기본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에서 IP를 찾는 순서 ( feat. DNS와 hosts 파일 등록 ) (0) | 2024.02.16 |
---|---|
DNS와 작동원리 (0) | 2022.01.10 |
댓글